이제 막 졸업하고 회사에 취직 후 받은 초봉, 얼마인지 다들 기억들 하시나요? 혹시나 아직 직장에 들어가기 전이라고 하면 원하는 초봉이 있을까요? 실제로 그 금액만큼 받든 안 받든 본인이 원하는 초봉 금액이 있기 마련인데요.
사실 원하는 연봉을 받았다고 해도 연봉과 실수령액 사이에는 꽤나 괴리가 있을 것입니다. 첫 월급을 받고 예상보다 적은 금액에 깜짝 놀라시지 않았나요?
월급명세서에 답이 있어요
그럴 땐, 월급명세서를 한번 자세히 살펴보세요. 월급명세서는 한달 간의 노동력에 대한 영수증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성이 복잡하고, 용어들도 낯선 탓에 월급명세서를 봐도 잘 모를 수 있는데요. 월급명세서에서 크게 지급내역과 공제내역으로 나뉩니다.
지급내역은
근로자에게 지급한 금액에 대한 내역이에요. 지급내역은 다양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세전' 월급이 돼요, 어떤 항목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기본급 (각종 수당을 뺀 순수한 금액)
근로계약에 따라 지급하기로 약속한 기본임금. 하지만 기본급=월급은 아니에요. 최종적으로 받게 되는 월급은 기본급에 각종 수당이 더해져서 책정돼요. 대신, 기본급은 각종 세금이 부과되는 기준이 돼요.
2. 수당 (기본급 외에 추가로 붙는 금액)
회사마다 수당의 종류가 다른데요. 보통 야근수당, 휴일수당, 연장근로수당, 가족수당 등이 포함됩니다.
3. 상여금 (정기적인 월급 이외에 추가로 지급되는 금액)
휴일, 명절에 받는 일시적 보너스가 이에 해당됩니다.
4. 특별상여금 (흔히 말하는 '보너스' 혹은 '인센티브')
직장생활의 한 줄기 빛. 회사의 수익이나 개인의 성과에 따라 지급되기 때문에 지급 비율과 시기는 회사마다 달라요.
5. 복리후생비 (근로자의 복지를 위해 지급되는 항목)
식대, 자가운전보조금(유류비), 통신비, 자기계발비 등. 월급명세서에 복리후생비가 따로 표기되는 이유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자가운전보조금은 월 20만원까지, 식대는 월 20만원까지 비과세로 인정돼요.
공제내역은
내야 하는 돈이에요. 사실 공제내역은 이미 제외하고 월급이 들어오기 때문에 통장을 스쳐 지나가지도 못한 금액이긴 해요. 지급내역에서 공제내역을 빼게 되면, '세후 월급', 즉, '실수령액'이 돼요.
1. 소득세
소득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이에요. 내가 얼마를 버는지, 몇 명의 가족을 부양하고 있는지 등 조건에 따라 내야 하는 금액이 달라져요. 근로소득세, 갑근세, 갑종근로소득세 모두 같은 말이며 소득세는 연말정산을 통해 환급받을 수 있어요.
2. 지방소득세 (주민세)
소득세의 10%를 지방소득세로 따로 납부해요.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나눠진 이유는 세금이 납부되는 최종목적지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소득세는 국세청으로 가고, 지방소득세는 거주지역의 구청으로 납부됩니다. 지방소득세 역시 연말정산을 통해 환급 받을 수 있어요.
3. 4대 보험대보험
4가지 사회보험을 말해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해당돼요. 질병, 장애, 실업, 사망 등 사회적 위험을 보험 형식으로 대비하는 거예요. 직장에 다니고 있다면 4대 보험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해요. 각각의 보험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3-1. 국민연금
일을 할 수 없는 나이가 되었을 때, 생활 보장을 대비한 제도입니다. 각종 실비 수당, 복리후생비를 제외한 월급의 9%가 국민연금으로 들어가요. 회사와 내가 각각 4.5%, 반반씩 부담해요.
3-2. 건강보험
각종 수당과 복리후생비를 제외한 월급의 약 7.09%가 건강보험으로 들어가요. 국민연금과 마찬가지로 회사와 내가 3.545%씩 반반 부담해요. 월급명세서에 보이는 '장기요양보험' 역시 건강보험에 포함되는 항목이며 총 12.95%에서 반반 부담 합니다.
3-3. 고용보험
실직으로 소득이 끊겼을 때, 실업급여를 제공하고 재취업을 지원하는 보험이며. 최소 근속 기간을 충족해야 하며 실업급여를 매달 구직활동을 한 사실을 고용센터에 제출하여 실업인정을 받아야 지급이 되는 시스템입니다. 실업급여에 대해서는 회사와 내가 각각 0.9%씩 부담합니다.
3-4. 산재보험
일을 하다 재해를 당했을 때 보상받기 위해 가입하는 보험이에요. 산재보험은 회사가 100% 부담하기 때문에 월급명세서에는 따로 항목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4. 건강보험 연말정산
4월 월급이 평소와 달라졌다면? 건강보험료 연말정산 때문일 거예요. 매년 1월에 하는 연말정산의 경우, 2월이나 3월에 환급금이 월급에 반영돼요. 하지만 건강보험료 연말정산은 매년 4월에 따로 이뤄져요. 3월마다 기업에서 근로자의 전년도 총소득을 신고하고, 4월 월급에 반영되는 시스템이에요. 건강보험료는 내가 번 보수*총액에 따라 부과되기 때문에 작년에 신고한 보수보다 더 많은 보수를 받았다면, 건강보험료를 추가로 납부하게 돼요.
※ 보수: 근로소득에서 비과세 근로소득을 뺀 금액